카테고리 없음
실전편 5탄|블로그-인스타-디지털상품을 연결하는 ‘링크트리 전략’
머니로깅
2025. 8. 4. 09:16
블로그에서 시작한 콘텐츠가 유튜브, 인스타, PDF 상품으로 확장된다면
그 모든 흐름을 ‘하나로 정리해주는 허브’가 필요합니다.
그게 바로 ‘링크트리(Linktree)’ 전략입니다.
오늘은 나의 수익 채널들을 하나의 구조로 연결하고
유입 → 탐색 → 클릭 → 전환까지 이어주는 흐름을 설계해봅니다.
1. 왜 링크 허브가 필요한가?
- 블로그에서 유입된 사용자가 더 많은 콘텐츠를 탐색할 수 있도록
- 인스타·스레드·유튜브 각각의 팔로워를 블로그나 상품 페이지로 유도
- 최종적으로 ‘내가 만든 것’을 클릭하거나 구매로 연결시키기 위해
즉, 링크트리는 단순한 링크 모음이 아니라 ‘내 콘텐츠를 수익 흐름으로 연결해주는 지도’입니다.
2. 추천 도구 & 구성 방식
① Notion으로 만드는 무료 링크페이지
- 심플하고 직접 수정 가능
- 이미지+링크+간단한 설명 포함 가능
② Carrd.co / Linktree
- 한 장의 포트폴리오처럼 구성 가능
- 인스타 프로필에 넣기 용이
③ 구체적인 구성 예시
- 블로그 인기글 바로가기: 실전편 1~5편 리스트
- 디지털 상품: PDF 템플릿, 체크리스트 무료 배포 or 판매 링크
- SNS 채널: 인스타그램, 유튜브, Threads 연결
- 나의 소개: 블로그 방향성 요약 or 영상 포함
3. 예시: 콘텐츠 흐름 설계도
블로그 글: "GPT로 만든 블로그 글쓰기 프롬프트 정리" →
PDF 템플릿 배포: “프롬프트북 다운로드 (링크트리 통해)” →
인스타 카드뉴스: “5줄 요약 카드” →
링크트리에서 유입: 구독 / 상품 확인 / 블로그로 재방문
이처럼 하나의 콘텐츠가 ‘확장-배포-수익화’로 이어질 수 있는 구조를 링크 허브를 통해 완성할 수 있습니다.
4. 실제 실행 포인트
- Notion으로 나만의 링크페이지를 만들어두고, 블로그/인스타에 연결
- PDF나 유용한 콘텐츠를 무료로 배포하며 유입 포인트 확보
- 링크트리에는 항상 5개 이하의 콘텐츠만 유지 (집중력 분산 방지)
- ‘디지털 머니로그의 방향성’ 요약 링크도 상단 고정
결론: 수익 흐름은 연결에서 시작된다
블로그는 출발점일 뿐, 그 이후의 콘텐츠 확장과 연결이 진짜 수익화의 핵심입니다.
오늘부터 하나의 글을 쓸 때, “이 콘텐츠를 어디까지 확장시킬 수 있을까?” 질문해 보세요.
그 확장의 흐름을 시각화하고 연결하는 도구가 바로 링크트리 전략입니다.